대차대조표 에러시 체크방법
1.제조원가명세서 -> 손익계산서 -> 이익잉여금(결손금)처분(처리)계산서 -> 합계잔액시산표 대차대조표 순으로 읽어 줍니다. (과목별,세목별,제출용,표준용 모두)
2. 전기분 재무제표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확인합니다.
3. 전기분 대차대조표의 이월이익잉여금과 전기분이월이익잉여금의 처분전이익잉여금의 금액이 일치하는지 체크합니다.
4. 이익잉여금에서 전표추가 후 추가입력된 사항이 없나 검토합니다.
ex) 이익잉여금(결손금)처분(처리)계산서 처리까지 완료한 후 일반전표 추가입력을 했을경우
일반전표에서 Shift + F5 를 눌러 전표삭제 후 처음부터 결산작업 다시 하셔야 합니다.
5. 합계잔액시산표를 보며 원가대체가 모두 이루어졌나 확인합니다.
원가부분이 잔액이 (-) 금액으로 뜨거나 원가대체가 안된부분이 있다면, 일반전표에서
Shift + F5를 눌러 전표삭제후 재작업하셔야 합니다.
6. 프로그램은 차변계정만 비용으로 인식하므로 보험료 등은 차감분개로 해주셔야 합니다.
ex) 소모품비 입력된 것을 취소하였을 경우
차)현금 xxx 대)소모품비 xxx <--잘못된 분개
차)현금 xxx 대) <-- 이렇게 수정하세요.
소모품비 -xxx
(이유는 특히 제조원가의 경우 제조원가보고서의 경우 합계잔액시산표상 잔액금액을 끌고오는 것이 아니라 합계금액을 끌고 오므로 차변과 대변으로 분개하면 합잔상 금액과 제조원가보고서상 금액이 틀어지기 때문에 더존의 경우 차변에서 마이너스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7. 대차대조표에서는 "처분전이익잉여금"으로 계정과목 표시는 올바른 표시입니다. [출처] 대차대조표 에러시 체크방법|작성자 dong5744
따라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의 처분전이익잉여금과 대차대조표의 처분전이익잉여금의 금액이
같아야 합니다.
'┼───────◈ 2 > 바람직한 부자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사업장 총괄 납부 (0) | 2012.04.27 |
---|---|
[스크랩] 증권거래세 신고 (0) | 2012.04.27 |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소방시설등) (0) | 2011.11.29 |
일반음식점이란? (0) | 2011.11.29 |
용도지역에 따른 음식점등 업종별 입지제한 (0) | 2011.11.29 |